'백골단'이 뭐길래...하얀 헬멧 등장에 논란이 된 국회
'백골단'이라는 하위 조직을 운영하는 '반공청년단'이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것과 관련해 거센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야당은 기자회견을 주선한 여당 의원을 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여당 내부에서도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번 논란은 9일 국회 소통관에 하얀 헬멧을 쓴 청년들이 등장하면서 시작됐다.
20와 30대로 구성된 반공청년단은 이날 회견에서 "우리는 헌법과 국가를 수호하기 위한 자발적 조직"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저희는 최근 민주노총의 대통령에 대한 불법 체포 시도를 저지하기 위해 대통령 공관 옆 한남초등학교 앞에서 시위를 벌인 청년들"이라고 밝혔다.
실제 이들은 최근 대통령 관저 주변에서 하얀 헬멧을 쓴 채 경찰의 대통령 체포 시도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해당 조직을 이끄는 대표에 따르면 이들은 하얀 헬멧을 쓰고 다니며 주로 야간 시간대에 관저 경비 활동을 벌였다.
반공청년단은 회견에서 "대한민국 헌정질서를 위협하고 국론 분열을 초래한 졸속 탄핵 절차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야당 의원들로 구성된 국회 탄핵소추단이 탄핵 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삭제한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
왜 하필 '백골단' 명칭을...
반공청년단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백골단은 '예하 부대'로 두고, 대통령 관저 주변에서 감시 활동을 하는 일종의 '자경단'으로 활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공청년단은 최근 윤 대통령 체포를 촉구하는 민주노총의 불법 집회에 맞서 청년들이 주축이 돼 자발적으로 백골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 발언을 두고 국회 안팎은 발칵 뒤집혔다. '백골단'이라는 명칭에 야권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백골단은 1980∼1990년대 집회·시위 현장에서 시위대를 진압하고 체포하기 위해 구성된 사복경찰관을 말한다.
당시 백골단은 대부분 무술 유단자와 특전사 출신이 특채되어 주류로 구성됐다. 시위자들을 진압하는 모습이 흰색 헬멧에 일반 전투경찰들과 구분되는 청색자켓 복장 때문에 백골단으로 불렸다.
백골단은 독재시대를 상징하는 권위의 상징이라는 평가가 있었고, 동시에 시위대들에게 공포를 느끼게 하는 집단이었다.
국회에 어떻게 들어왔나
반공청년단이 국회에 들어올 수 있었던 건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이 기자회견을 주선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 의원은 이 기자회견에서 "젊은 청년들이 원하는 건 헌법과 법률이 공정하게 집행되는 것"이라며 "탄핵 사유에서 내란죄를 빼겠다는 건 합의제인 국회 의결을 무시하는 것이기에 젊은이들의 정당한 분노"라고 말했다.
하지만 야당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는 등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했다.
박창진 더불어민주당 부대변인은 "백골단은 80~90년대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던 사복 경찰"이라며 "이런 백골단의 이름을 자랑스럽게 내걸고 옳고 그름도 구분하지 못하는 바보 같은 사람들을 누가 국회 기자회견장에 세웠냐"고 말했다.
특히 민주당은 10일 "백골단을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 끌어들인 사실은 결코 지워지지 않을 것"이라며 김 의원에 대한 제명촉구 결의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백골단의 명칭이나 실체가 불분명한 상태에서 기자회견을 주선한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다만 "본인이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해서 징계 사유에 해당하지는 않는다"며 "개별 의원의 행동에 대해서 본인들이 헌법기관의 일원으로서 거기 맞춰서 했기 때문에 제가 특별히 언급할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논란이 거세지자 김민전 의원은 사과했다.
김 의원은 "다수의 윤 대통령 지지 청년들은 반공청년단이라는 명칭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며 "백골단이라는 명칭 역시 좌파에 명분을 주는 표현이라며 사용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확한 정보와 배경을 파악하지 못한 채 기자회견을 주선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번 일이 자발적·평화적 시위를 하고자 하는 청년들을 폭력적 시위단으로 왜곡하는 계기가 돼서는 안 됨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