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네비게이션 검색 본문 바로가기

북한주민 6명 송환에 북한 경비정 마중...남북, 물밑 소통했나

7시간 전

한국 정부가 해상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9일 송환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정부는 북한 주민들을 선박에 태워 오전 8시 56분쯤 동해 북방한계선(NLL)으로 올려보냈다. 이후 이 선박은 9시 24분쯤 북한 경비정과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는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과 견인용으로 추정되는 배 한 척, 어선으로 보이는 배가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다"며 "북한 선박은 자력으로 귀환했다"고 밝혔다.

이날 북한으로 돌아간 북한 주민 중 4명은 지난 5월 27일 강원도 고성 동쪽 약 100㎞ 이남 해역에서 발견된 선원들이다.

또 다른 2명은 지난 3월 7일 서해 NLL 부근에서 구조돼 한국 정부의 보호시설에서 4개월 넘게 머물렀다.

이들 모두 선박 고장으로 해상에서 표류하다 의도치 않게 NLL을 건너왔고,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꾸준히 밝혔다는 게 한국 정부의 입장이다.

통일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안전·신속하게 북한 주민들을 송환한다는 입장 아래 관계기관과 협력해 왔다"며 "송환 과정에서 북한 주민들의 자유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했고, 송환 전까지 북한 주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했다"고 했다.

이들이 타고 간 선박은 동해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선원들의 어선을 수리한 것이다. 서해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들의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운항 불가능해 폐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 소통 신호탄?

그동안 남북 연락채널이 모두 끊긴 가운데 한국 정부는 주민들을 북한으로 돌려보내겠다는 의사를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북한에 전달하거나 언론 발표 등을 통해 여러 차례 밝혀왔다.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

하지만 이날 북한 어선의 송환 지점에 북한 측 경비정과 어선이 나와있었다는 점에서, 한국과 북한이 사전에 물밑 소통을 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을 지낸 남성욱 숙명여대 석좌교수는 BBC에 "소통 없이 망망대해에 선박을 던져 놓으면 무동력선 비슷한 선박이 또 떠내려가는 사고가 날 가능성도 있으니 물밑에서 시간, 장소를 정해놓으면 북한이 자연스럽게 인수해가는 그런 방식을 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을 향해 '적대적 두 국가론'을 취해온 북한이 한국과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기보다는, 한국 측이 통지한 송환 시간과 장소에 함정을 대기시켜 놓는 모양새를 취한 것이란 얘기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주문처럼 외쳐온 김정은 입장에서 적대적인 두 국가론 속에서도 일관되게 북한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하는 어민들의 의사를 지속적으로 외면하는 것은 큰 부담이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돌아간 주민들, 어떤 조사받나

북으로 돌아간 주민들은 일단 당국의 철저한 조사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한국을 '적대적인 두 국가'로 규정하고 '남측과 접촉한 사실' 자체를 체제 위협 요소로 간주하기 때문에, 단순 표류와는 무관하게 모두 철저한 조사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6명 중 2명은 역대 최장 기록인 4개월 넘게 한국에 체류했다는 점에서 이 기간 동안 어떤 생활을 했는지 혹독한 조사를 거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들 중 일부는 체류 초반에 "남조선 괴뢰의 물로는 씻지 않겠다"며 샤워조차 거부하거나, 북한으로의 송환을 강하게 요구했다는 점은 참작 사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남성욱 교수는 "일단 북한에 가면 그동안 남한에서 했던 일을 전부 다 쓰라고 하고, 이런 조사를 계속 하게 된다"며 "혹시 남한에서 간첩 교육을 받은 건 없는지, 또 남한에서 뭐 들었던 얘기를 다 쓰라고하면서 머릿속을 탈탈 터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고 설명했다.

조사가 끝나면 체제 선전에 이용될 수도 있다.

임을출 교수는 "북한은 이번 송환 수용 사례를 체제 정당성을 강화하고 선전하는 데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BBC NEWS 코리아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