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네비게이션 검색 본문 바로가기

국민의힘, 초유의 대선후보 교체…앞으로 어떻게 되나?

1시간 전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Getty Images

국민의힘 지도부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 등록 마감일을 하루 앞두고 사상 초유의 대통령 후보 교체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10일 새벽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를 동시에 열고 기존 대선 후보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의 후보 선출을 취소하고 무소속이던 한덕수 예비후보 입당 및 후보등록을 다루는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

의결이 끝난 뒤 국민의힘 홈페이지에는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출 취소 공고문'과 '후보자 등록 신청 공고', '선거 후보 등록 공고'가 차례로 올라왔다.

늦은 밤사이에 기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김문수 전 장관의 후보직을 박탈하고 무소속이던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입당시킴과 동시에 단독 후보로 등록한 것이다.

지난 3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됐던 김 전 장관과 비슷한 시기에 대선 출마 의사를 밝힌 한 전 총리 간 단일화 협상이 잘 진행되지 않자, 후보 등록 마감일을 하루 앞두고 특단의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80%가 넘는 당원이 후보 등록일(10∼11일) 이전에 단일화를 요구했다며 "김 전 후보가 신속한 단일화 주장으로 국민과 당원의 지지를 얻어놓고 막상 후보가 되자 시간을 끌며 사실상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라고 말했다.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 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김문수는 '불복'

김문수 후보는 즉각 불복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어젯밤 우리 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라며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인 일이 벌어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우리 당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 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에서 선출하게 되어있다"라며 "그런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또 "당 지도부는 내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후보를 정해 놓고 나를 축출하려 했다"라며 "결국 오늘 새벽 1시경 정당한 대통령 후보의 자격을 박탈했다. 이어 새벽 3시부터 단 1시간 만에 32건의 서류를 준비하게 해서 현장 접수를 강행했다"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선출 취소 공고문 이후 올라온 후보자 등록신청 공고문에 나온 후보 등록 신청 기간은 오전 3시부터 4시까지였다.

김 전 장관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 선출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법원이 가처분을 인용하면 후보 교체 절차가 중단된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당원 투표를 진행 중이다. 과반 이상이 후보 교체에 찬성하면 11일 전국위원회와 비대위 의결을 거쳐 후보 교체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만약 당원 투표에서 후보 교체 찬성 의견이 과반에 미치지 못할 경우 김 후보가 다시 후보직에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 비판 여론

김 후보와 함께 경선에 출마했던 이들을 비롯한 유력 보수 정치인들의 비판도 거센 상황이다. 대선 후보를 교체하는 과정이 민주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절차적 정당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경선에서 김 후보와 마지막까지 경쟁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내 윤석열 지지 세력이 주도해 한 후보를 "날치기"로 내세웠다며 "아직도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그 추종자들에 휘둘리는 당인 것 안타깝다"라고 밝혔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에 있어서는 안 될 일이 벌어졌다"라며 당 지도부 퇴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등을 요구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참담하다"라며 "비정상적 교체 후보를 국민의힘 후보로 선관위에 등록해서는 절대 안 된다"라고 적었다.

일각에서는 후보 교체 절차에 공직선거법 위반 등 법적 문제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서울경제신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6, 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김문수, 한덕수 후보 중 누구로 단일화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김 후보라고 응답한 비율은 41%, 한 후보는 35%로 집계됐다. 하지만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으로 대상을 좁혔을 때는 한 후보라고 응답한 비율은 55%, 김 후보는 27%로 나타났다.

BBC NEWS 코리아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