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네비게이션 검색 본문 바로가기

트럼프, 한국 포함 14개국 관세 인상 8월로 연기

11시간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일본 등 14개국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8월로 연기한다고 통보했다.

미국이 일부 수입품에 부과한 공격적인 관세 적용의 90일 유예 기간은 이번 주 종료될 예정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고,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8월 1일부터 발효될 수 있는 새로운 관세 부과에 대해 서한을 보냈다.

당초 고율 관세는 오는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백악관 관계자가 무역 합의 체결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일시 중단한 바 있다.

7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14개국 정상 앞으로 보낸 서한을 공개하며 새로운 관세 계획을 알렸다. 또한, "각국 관계에 따른 관세율의 상향 또는 하향" 조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 제시한 대부분의 관세율은 지난 4월 '미국 해방의 날' 발표 당시 예고한 것과 유사한 수준이다. 당시 트럼프는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새로운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가 외국과의 경쟁에서 미국 기업을 보호하고, 자국 제조업과 고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내 물가를 인상시키고, 무역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우려한다. 지난 7일 미국 3대 주가지수는 하락했으며, 미국에 상장된 도요타 주가는 4% 하락했다.

미국 무역 통계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해 미국에 1480억달러(약 202조원) 이상의 상품을 수출해, 유럽연합(EU)·멕시코·중국·캐나다에 이어 미국의 5위 수입 상대국이었다. 한국도 상위 10위권에 포함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일본 외에도 미얀마·라오스산 제품에 40%, 태국·캄보디아산에 36%, 세르비아·방글라데시산에 35%, 인도네시아산에 32%, 남아프리카공화국산에 30%, 말레이시아·튀니지산에 25%의 관세를 각각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며칠 내 다른 국가에도 관세 서한이 발송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시행 일정을 기존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늦춘 것이 관세 위협의 효과를 약화시키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반박했다.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의 전화가 끊임없이 울린다"며 "각국 정상들이 협상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4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폭탄 조치를 처음 발표했을 당시 금융시장은 혼란에 휩싸였다.

이에 따라 일부 최고 수준의 관세 부과는 협상을 위해 일시 중단됐으며, 10% 수준의 관세만 유지됐다.

'며칠간 매우 바쁠 것'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며칠간 매우 바쁠 것"이라며 "협상에서 입장을 바꾼 나라들이 많다. 어젯밤 받은 제안서만으로도 메일함이 가득 찼다"고 미국 CNBC 방송에 밝혔다.

4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조치를 처음 발표할 당시 이를 "상호관세"라고 표현했고, 미국 수출을 불리하게 만드는 다른 국가들의 무역 규정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과 자동차 등 핵심 산업에 대한 관세를 별도로 발표했으며, 의약품과 목재 등 다른 품목에도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복잡한 관세 정책이 무역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특히 자동차 관세는 일본·한국과의 협상에서 핵심 쟁점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미국은 영국·베트남과 합의를 체결했다. 중국과는 부분적 합의에 도달했다. 이들 3개국 모두 트럼프 재임 전보다 관세가 인상된 상태이며, 핵심 쟁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미국은 인도와의 합의가 임박했다고 밝혔다.

EU도 협상을 진행 중이다. 보도에 따르면, EU 당국자들은 관세 서한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EU 대변인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불과 몇 주 전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또한 지난주에는 일본이 9일까지 미국과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30~3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BBC NEWS 코리아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