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윤석열 탄핵' 찬반 대규모 시위 열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만을 남겨놓은 가운데 3·1절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탄핵 찬반 집회가 동시에 열렸다.
1일 양측 진영은 각각 대규모 집회를 열어 한쪽에선 탄핵 기각을, 다른 쪽에선 탄핵 인용을 외쳤다. 오후 2시 30분 기준 경찰 비공식 추산으로 양측 12만 명이 모였으며, 참가 인원은 점점 불어나고 있다.
탄핵 찬반 집회가 대규모로 열리면서 한국 사회의 정치적 분열이 드러나고 있다. 여야 정치권 인사들까지 찬반 집회에 참여하면서 3·1운동 당시 하나로 뭉쳤던 민족적 연대의 의미가 희미해지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는 서울 광화문과 여의도 등에서 먼저 시작됐다.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대국본)와 세이브코리아 등 보수성향 기독교단체는 각각 세종대로와 여의대로 일대에서 집회를 진행했다.
정치권의 참여도 눈에 띄었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 36명은 세이브코리아 연단에 올라갔으며,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집회에서 윤 대통령의 메세지를 전달했다. 그는 "윤대통령은 자유를 지키기 위한 의지와 책임 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잃으면 공산 전체주의와 포퓰리즘이 치고 들어올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석동현 변호사는 광화문에서 열린 대국본 집회에서 연단에 올라 대통령이 건강하고 잘 있다는 인사말을 전했다.
한편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탄핵 찬성 집회도 열렸다.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야당은 안국동에서 '윤석열 파면 촉구 범국민대회'를 개최하며 이재명 대표를 포함한 여러 당 대표들이 참석해 연설했다.
이 대표는 "지금 이 순간에도 여전히 주권자인 국민을 배판하고 민주 공화국의 기본 질서와 가치를 부정하며 내란 반동에 동조하는 사람·세력들이 있다"고 국민의힘을 비판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대행은 "윤석열 파면은 끝이 아니라 새 역사의 시작으로, 내란 세력을 제외한 모든 정당과 시민 사회가 단단히 연합해 압도적 승리로 집권해야 한다"며 "조국혁신당은 다가올 대선에서 정권 교체의 쇄빙선이 돼 도적 승리의 정권교체를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또한 민주노총과 참여연대 등은 사직로에서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비상 행동'을 벌이며 범시민 대행진을 진행했다.
경찰은 전국 기동대 97개 부대 6천400명을 동원해 안전 관리를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으며, 차벽 설치와 교통 경찰 배치를 통해 대규모 집회의 질서 유지에 주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