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휴학 막 내리나… 의대 복귀 남은 과제는 '수업 참여율'
정부가 정한 의과대학생 복귀 시한인 31일을 맞아 전국 대부분의 의대생들이 복학 절차를 마무리하면서, 1년 넘게 이어졌던 집단 휴학 사태가 사실상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고 있다.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울산대, 가톨릭대를 포함한 이른바 '빅5'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했고, 고려대와 충남대·부산대 등 주요 국립대 학생들까지 합류하면서 복귀가 대세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중앙대 역시 마감일인 이날 등록을 완료하며 전원 복귀 대열에 합류했다.
앞서 정부는 3월 내 모든 의대생이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증원 계획인 5058명에서 원래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이하 '의대협')는 처음에는 미복귀 기조를 고수했지만, 각 대학 교수진의 설득과 휴학 불승인 등 강경한 대응이 이어지자 내부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
일부 학생들은 여전히 수업 거부를 고수하고 있으나,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사실상 단체 행동의 동력은 약화되는 모양새다.
의대협은 최근 회원 서신을 통해 "회원들이 꿈꾸는 의료의 모습을 규합하지 못한 것에 엄중한 책임을 느낀다. 또한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다만 교육부는 아직 복귀 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을 내리지 않은 상태다.
교육부는 등록률만으로는 복귀로 볼 수 없으며, 실제 수업 참여율을 기준으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교육부의 공식 입장은 복귀율(에 대한 판단)이나 의대 모집인원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구 대변인은 또 "대학들이 등록일을 연장하고 있고 등록금 납부일을 4월로 늦춘 곳도 있어 실제 복귀율 자체는 빨리 집계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각 대학으로부터 수업 참여 현황을 수집한 뒤, '정상적인 수업 진행이 가능한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해 조만간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확정할 예정이다.
총모집인원 최종 확정은 4월 말까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