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러시아 편에서 싸우던 중국 국적자 2명 체포'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에서 러시아군을 위해 싸우던 중국인 2명을 생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입수된 정보에 따르면 러시아 군 내 중국인 군인 수가 "2명보다 훨씬 많다"고 덧붙였다.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은 우크라이나에서 싸우는 중국 군인들의 존재는 "평화를 지지한다는 중국 당국의 입장에 의문을 제기한다"면서 설명을 요구하고자 주우크라이나 중국 대리대사를 초치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가 중국이 러시아에 인력을 공급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주장에 대해 아직 러시아나 중국 모두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X에 올린 성명에서 이들 중국인 군인들은 동부 도네츠크 지역에서 생포되었을 당시 "개인 정보"가 적힌 은행 카드 등의 신분증을 소지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국군은 중국군 6명과 싸워 그중 2명을 포로로 잡았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게시물과 함께 올라온 영상에는 중국인 포로로 추정되는 한 명이 수갑을 차고 중국어로 최근 전투에 관해 설명하는 듯한 모습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점령군 부대에 이 2명 외에도 더 많은 중국인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다른 국가들과 함께 중국을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번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개입시키고 있다. 이는 푸틴은 전쟁을 끝낼 의지가 없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신호"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유럽, 그리고 평화를 원하는 전 세계 모든 국가의 대응"을 촉구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에 따르면 현재 관련 조사가 진행 중이며, 포로들은 우크라이나 보안국에 구금된 상태다.

같은 날(8일)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 같은 소식에 대해 "충격적"이라고 반응했다.
브루스 대변인은 내비게이션 장비, 반도체 칩, 전투기 부품과 같은 이중용도 물품을 중국이 러시아에 공급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중국은 러시아의 "주요 조력자"라고 덧붙였다.
한편 시비하 외교장관은 키이우 소재 중국 대리대사를 초치하여 "설명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시비하 장관은 X에 "우리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 전쟁에 중국 시민을 개입시킨 것, 이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투에 참여한 점을 강력히 비난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이러한 움직임은 "평화를 지지한다는 중국의 입장에 의문을 제기"할 뿐만 아니라 UN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으로서 중국의 신뢰성을 훼손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프랑스 신문 '르 몽드'는 중국판 틱톡인 '도우인'에서 러시아 군에 입대했다고 주장하는 중국인 계정 40여 개를 확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우크라이나와 서방 관계자들에 따르면 북한 또한 러시아군을 지원하고자 병력 수천 명을 파견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8일 기자회견에서 "하지만 차이가 있다. 북한군은 쿠르스크 전선에서 우리와 싸웠고, 중국군은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싸우고 있다"고 했다.
지난 1월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쿠르스크에서 부상당한 북한군 병사 2명을 생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가까운 동맹국이지만 중국은 이번 분쟁에서 중립적인 입장임을 내세우는 한편 러시아에 군사 장비를 공급하지도 않는다며 거듭 부인하고 있다.
이번 전쟁에서 러시아의 최대 이점 중 하나가 바로 수적인 우위다. 러시아 당국이 이른바 '고기 분쇄기' 전술을 구사해 대규모 병력을 최전선에 투입하여 조금씩 천천히 전진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를 본격적으로 침공했으며, 현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의 약 20%, 주로 동부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드론 공격은 8일 밤에도 계속되어 현지 관리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중부 도시 드니프로에서는 14명이 부상을 입었고, 북동부 하르키우에서도 2명이 부상당했다. 아울러 두 도시에서는 여러 건의 화재가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