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발전소 사고, 사망자 7명으로 구조작업 종료…원인 규명 본격화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로 매몰된 마지막 실종자가 수습되면서 사망자 7명을 낸 이번 사고의 수색 및 구조 작업이 공식 종료되고, 원인 규명 작업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 본부장을 맡고 있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15일 현장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번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노동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들에게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또한 상처를 입으신 노동자분들의 쾌유를 빈다"라고 밝혔다.
지난 6일 오후 2시쯤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의 보일러 타워 철거 작업 중 타워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해 9명이 매몰됐다. 사고 발생 직후 구조된 2명을 제외한 7명은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마지막 매몰자의 시신이 지난 14일 밤 수습되면서 9일 간의 수색·구조 작업이 종료됐다.
김 장관은 "우리에게 남은 과제는 피해 노동자와 가족분들의 회복을 지원하고, 고인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먼저, 사망하신 노동자분들에 대한 장례 지원과 함께 유가족분들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시는 데 필요한 사항들을 울산시 등 관계기관과 함께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며 "또한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통해 사고 발생의 구조적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겠다"라고 밝혔다.
"노후화된 화력발전소 폐쇄 등 정의로운 전환 과정에는 수많은 과제와 위험이 뒤따릅니다.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방안을 정부가 조속히 마련해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작업에 투입된 9명이 모두 하청업체 소속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위험한 작업을 외주업체에 맡기고 원청은 책임을 회피하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 장관은 중대재해처벌법 도입 후에도 발주처에 대한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 건설 현장에서 발주처의 책임을 강화하는 관련 법안들이 지금 발의 및 논의되고 있다"라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아주 큰 인프라 교체 사업들이 예상되는 만큼 발주처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는 방법도 제도적으로 강구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보일러 타워 해체공사 시공사인 HJ중공업에서 발파 해체 작업을 도급한 업체인 코리아카코는 이날 오전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사과문을 발표했다.
석철기 코리아카코 대표는 현재로서는 "사고 원인을 추정하기 어렵다"라며 "유가족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수사기관 요청을 포함해 원인 규명에 필요한 절차에 성실히 협조하겠다"라고 밝혔다.
한국동서발전에 따르면 울산화력발전소는 1981년 당시 국내 최대 중유발전소로 완공돼 이후 1980년대 초 국내 총 전력 생산량의 15%를 생산했으나, 2022년 발전 수명을 다해 퇴역이 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