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SNS 금지' 항의 시위에 19명 사망...결국 조치 철회
네팔 정부가 9일(현지시간) 결국 SNS 금지 조치를 철회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에 항의하며 거리로 나선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하며 19명이 숨졌다.
지난 8일 수도 카트만두의 의회 건물로 몰려든 네팔 청년 수천 명은 페이스북, 유튜브 등 총 26개 SNS 플랫폼을 금지한다는 정부 명령 철회 및 부정부패 척결을 요구했다.
프리트비 수바 구룽 통신정보부 장관에 따르면 "Z세대의 요구에 대응하고자" 8일 늦은 밤 긴급 내각 회의를 열고 SNS 금지 조치를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수도 외 지역까지 번진 이번 시위 사태로 100여 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
네팔에서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플랫폼 사용자는 수백만 명에 달하며, 주 사용 목적은 오락거리, 뉴스, 사업 등이다.
그런데 지난주 네팔 정부는 가짜 뉴스와 혐오 발언, 온라인 사기 등을 근절한다며 SNS 플랫폼 사용 금지 조치를 시행했다.
이에 9일 청년들은 정부의 권위주의적인 결정이라며 거리로 나섰다. 많은 이들이 '당할 만큼 당했다', '부정부패 척결' 등의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있었다.
일부는 카드가 샤르마 올리 총리의 고향인 다막의 총리 자택에 돌을 던지기도 했다.
시위에 참여한 사바나 부다토키는 앞서 BBC와의 인터뷰에서 SNS 금지 조치는 "우리가 모인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SNS 금지보다도 사람들의 관심은 부정부패에 집중되어 있다"면서 "우리는 우리 나라를 되찾고 싶다. 우리는 부정부패를 막으러 나왔다"고 강조했다.
최근 네팔 SNS에서는 정치인 자녀들의 호화로운 생활을 조명하고, 이들이 부정부패를 통해 재산을 축적했다고 비판하는 이른바 '네포 키드(족벌주의를 뜻하는 네포티즘(nepotism)과 아이(kid)의 합성어)' 캠페인이 확산되고 있었다.

8일 카트만두 경찰은 시위대를 해산시키고자 물대포, 곤봉, 고무탄 등을 동원했다.
올리 총리는 이번 폭력 사태와 인명 피해에 "매우 슬프다"면서 "여러 이해관계 집단의 잠입"으로 인해 이러한 일이 벌어진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시위 진상을 조사할 패널을 구성할 계획이며, 피해자들에게 재정 "구조"를 제공하고 부상자들을 무료로 치료해주겠다고 덧붙였다.
시위 과정에서 정부의 무력 사용에 대한 강한 비판이 이어지자 라메시 레카크 내무장관은 이날 저녁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주 네팔 당국은 자국 통신정보기술부에 등록 마감일을 준수하지 않은 SNS 플랫폼 26개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SNS 자체를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네팔 법을 준수하도록 장려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