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네비게이션 검색 본문 바로가기

고민되는 입냄새,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2시간 전
한 여성이 자신의 입냄새를 확인하려고 손을 입 앞에 대고 숨을 내쉰다
Getty Images

사람들과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꺼리는 이유가 혹시 입냄새 때문이라면? 걱정할 필요 없다. 이는 누구나 한 번쯤 겪는 흔한 문제로, 해결 방법도 있다.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은 마치 끝없는 전쟁과도 같다. 이 전쟁의 상대는 치아와 잇몸 사이 그리고 혀 틈새에 자리를 잡는 박테리아다.

이 박테리아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으면 증식할 뿐 아니라 심각한 잇몸 질환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예방 방법이 있다.

입냄새의 원인은 무엇인가?

입냄새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치주염, 즉 잇몸이 후퇴하는 병이다.

영국 버밍엄대학교 복원치의학과의 프라빈 샤르마 부교수는 BBC의 '왓츠 업 독스? (What's Up Docs?)' 프로그램에서 이렇게 말했다.

"성인 인구의 절반은 어떤 형태로든 잇몸 질환을 겪고 있어요."

그는 "객관적인 입냄새는 구강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입냄새의 90%는 입 안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10%는 다른 원인에 있다.

"당뇨병이 잘 조절되지 않으면 특정한 냄새가 납니다" 샤르마 박사는 설명했다.

"위장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 위식도 역류 같은 경우에는 신 냄새가 나죠. 즉, 전신 질환이 구강 내에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 여성이 치실을 사용하고 있다
Getty Images
치아 사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자

치아와 잇몸 사이에 정착한 박테리아를 청소하지 않으면 미세한 상처와 함께 잇몸 출혈이 생긴다. 이것이 잇몸 질환의 초기 단계인 치은염인데 다행히도 되돌릴 수 있다.

"치은염은 잇몸의 염증입니다. 양치할 때 잇몸이 붉게 부어 있고, 피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납니다"라고 샤르마 박사는 설명했다. "이 상태가 점차 치주염으로 진행됩니다."

양치 중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난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아직 대처할 시간이 있기 때문이다.

"환자들이 흔히 하는 행동 중 하나는 아픈 잇몸 부위를 피해서 양치하는 거예요. '내가 뭔가 잘못하고 있어서 피가 나는구나' 하고 생각하는 거죠"라고 샤르마 박사는 말했다.

"사실 그 반대예요. 피가 나면 '내가 여길 놓쳤구나, 좀 더 잘 닦아야겠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건강한 치아에서 잇몸 질환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여주는 그래픽
BBC
  • 양치에 집중하기

샤르마 박사는 제대로 양치하려면 시간을 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다른 일을 하면서 치아를 닦으면 안 된다"고 그는 강조했다. 되도록 거울 앞에 서서 주의를 기울이라는 말이다.

오른손잡이는 무의식적으로 왼쪽을 더 오래 닦고 왼손잡이는 오른쪽을 더 오래 닦는 경향이 있어 반대쪽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어느 손을 쓰고 있는지 인식하고, 양쪽을 균등하고 신중하게 닦도록 해야 한다.

  • 양치 기술 익히기

샤르마 박사는 치간 청소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플라그를 제거하고 잇몸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는 치간 칫솔이 더 낫습니다."

한 사람이 치간 칫솔로 치아 사이를 청소하고 있다
Getty Images
한 사람이 치간 칫솔로 치아 사이를 청소하고 있다

치간 칫솔을 사용한 후에는 입안에서 칫솔을 움직일 때 체계적으로 하되 서두르지 않아야 한다.

또한 모든 치아에는 바깥면, 씹는 면, 안쪽면 이렇게 세 면이 있는데 모두 꼼꼼하게 닦아야 한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칫솔을 치아에 수직으로 대고 앞뒤로 문지르지만 이 방법은 잇몸을 후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칫솔을 치아에 45도 각도로 대고 부드럽게 닦는 것이 좋다.

아랫니는 잇몸 쪽으로, 윗니는 위쪽으로 칫솔모를 향하게 하면 잇몸 아래에 숨은 박테리아를 제거할 수 있다.

엄마와 아들이 치과에 방문했다. 엄마는 치과 의자에 앉아 아들을 무릎에 안고 있으며, 치과의사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치아 모형을 사용해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Getty Images
올바른 양치 기술을 배우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 적절한 양치 시간

많은 사람들이 식후 양치가 맞다고 배웠지만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상적으로는 아침 식사 전에 양치해야 한다"고 샤르마 박사는 말했다. "산성 음식을 섭취한 직후 양치하면 치아의 광물질이 약해진 상태라, 법랑질과 상아질이 손상될 수 있어요."

음식 속 산은 치아 표면의 보호막인 법랑질과 그 아래의 상아질을 부드럽게 만들기 때문에 식사 직후 양치를 하면 치아에 해로울 수 있다.

샤르마 박사는 "아침을 먹은 후 양치하는 것을 선호한다면 식사와 양치 사이에 시간을 두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입을 헹구고 잠시 기다린 뒤 양치하는 습관도 좋다.

또한 하루 두 번, 각각 2분씩 양치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어떤 사람들은 하루에 한 번이라도 제대로 닦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수면 중에는 침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박테리아가 입 안에 더 많은 피해를 준다. 그래서 하루 한 번 양치를 한다면 자기 전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올바른 도구 선택

중간 정도 강도의 칫솔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치약은 비쌀 필요가 없다.

"재미있게도 불소만 들어 있으면 저는 만족합니다" 샤르마 박사는 말했다.

불소는 치아 법랑질을 강화하고 충치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양치 후에는 뱉기만 하고 헹구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치약과 불소가 입안에 남아 충치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잇몸 질환의 초기 증상이 있다면 구강세척제도 도움이 된다. 플라그와 박테리아 축적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다만, 구강세척제는 양치 직후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치약의 불소를 씻어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썩은 유치가 보이는 아기의 입 클로즈업 사진
Getty Images
아울러 설탕이 많은 음식과 음료는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에게도 충치를 유발할 수 있다
  • 심각한 잇몸 질환 인식하기

치주염이 진행되면 치아 사이에 틈이 생기고 치아를 고정하는 뼈가 닳아 치아가 흔들릴 수 있다. 이 상태가 방치된다면 뼈 손실이 심각해져 치아가 빠질 수 있다.

지속적인 입 냄새 역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즉시 치과에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입냄새를 상쾌하게 만드는 간단한 팁을 소개한다:

- 입이 마르면 박테리아가 자라기 좋은 환경이 된다. 물을 충분히 마신다.

- 혀 클리너로 혀를 청소한다. 음식물 찌꺼기, 박테리아, 죽은 세포가 제거되어 입냄새를 줄일 수 있다.

- 자신의 입 냄새 상태를 잘 모르겠다면 친구나 가족에게 부탁해보자. 다만, 부탁할 사람은 신중히 골라야 한다.

2025년 4월 29일자 BBC 팟캐스트 '왓츠 업 독스 (What's Up Docs)'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재구성함

BBC NEWS 코리아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