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네비게이션 검색 본문 바로가기

국정자원 화재로 멈춘 정부 주요 전산망

2일 전

26일 대전에 있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주요 전산서비스 업무가 중단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26일 밤 8시15분쯤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이온배터리 교체 작업 중 화재가 발생했으며, 약 10시간의 진화끝에 27일 오전 초기 진화됐다.

국정자원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IT시스템을 관리·운영하는 기관이다. 이번 화재로 모바일 신분증과 국민신문고 등 사이트 접속이 끊기고, 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온라인 민원 서비스 정부 24도 먹통이 됐다.

또한 인터넷 우체국 등 우편 서비스와 우체국 예금·보험 등 금융 서비스도 중단됐다. 현재 사용이 마비된 정부 시스템은 600여 개로 파악되고 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화재의 영향으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의 급격한 가열이 우려됐고,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켰다"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국민께서 정부서비스 장애 발생을 미처 알지 못해 당황하시는 일이 없도록, 오늘 오전 8시 재난문자를 발송했다"면서 "국민신문고 등 주요 정부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것과 관공서 방문 전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해주실 것을 안내했다"고 덧붙였다.

김 차관은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민원이나 서비스를 신청하실 경우 해당 기관의 안내에 따라 대체사이트에 접속하시거나 오프라인 창구를 활용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시스템 정상화 언제?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광주·대구센터를 합쳐 정부 업무서비스 기준 총 1600여개 국가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대전 본원에만 국가 정보시스템의 3분의 1 이상이 몰려있는 만큼, 데이터가 조기 복구되더라도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본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모두 차단했다.

정부는 전산망이 사실상 마비되자, 시스템 정상화 이후로 세금 납부, 서류 제출 기한 등을 연장하고, 대체 서비스를 안내하고 있다.

정부는 일단 복구 작업에 착수하는 대로 1∼2등급 정보시스템부터 우선 복구를 시도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27일 국정자원 화재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위기경보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상향했다.

행안부는 장애로 인해 다수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며 포털사이트 네이버 공지(https://m.naver.com/notice)를 통해 국민 행동요령을 안내했다.

행안부는 "각 행정기관에서는 기관의 업무연속성 계획에 근거해 전산업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기접수 및 처리, 대체절차 안내, 처리기한 연장, 소급적용 등을 통해 국민에게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BBC NEWS 코리아 최신 뉴스